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정책정보

희토류 관련주 TOP7 종목 주가 전망

by 트윈레인보우 2025. 4. 17.
반응형

국내 희토류 관련주 기업 분석: 글로벌 공급망 이슈와 산업 성장에 따른 주목

 

국내 증시에서 희토류 관련주는 최근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및 글로벌 공급망 이슈로 인해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희토류는 첨단 산업, 특히 전기차, 전자기기, 배터리 등에서 필수적인 자원으로, 각국의 공급망 안정화 전략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상장된 주요 희토류 관련주들을 소개하고, 각 기업의 사업 모델과 희토류와의 연관성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유니온 (000910) 주가 

 

유니온은 희토류 관련주 중 가장 대표적인 기업으로 손꼽힙니다. 본사는 특수 시멘트와 고부가가치 세라믹 소재를 생산하며, 희토류 정제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7,500원/3,360원
  • 외국인소진율:1.56%
  • 시가총액:941억원
  • 매출액:2,182억원(2024년 기준)

특히, 희토류 가공에 필수적인 산화세륨 등 원소를 직접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발생할 때 반사이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자회사인 유니온머티리얼을 통해 희토류 대체 소재인 페라이트 마그넷을 생산하고 있으며, 첨단 산업 소재 기업으로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친환경 기술 도입과 대체 소재 개발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고 있습니다.

2. 유니온머티리얼 (047400) 주가

 

유니온머티리얼은 유니온의 종속회사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희토류 영구 자석인 페라이트 자석을 대량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3,085원/1,891원
  • 외국인소진율:0.40%
  • 시가총액:863억원
  • 매출액:1,084억원(2024년)

주요 제품은 전기차 모터용 자석, 산업용 세라믹 부품 등으로, 특히 페라이트 마그넷은 희토류 자석의 대체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현재 전기차 및 가전산업의 급성장에 따라 자석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유니온머티리얼은 국내외 시장에서 자석 및 첨단 세라믹 부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기술 장벽이 높아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희토류 자석 대체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3. 동국알앤에스 주가

 

동국알앤에스는 제강용 내화물과 특수 금속을 생산하는 동국산업그룹 계열사로, 희토류 관련주로 분류됩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4,150원/2,275원
  • 외국인소진율:2.20%
  • 시가총액:473억원
  • 매출액:1,104억원(2024년)

동국알앤에스는 독점적인 정제 기술을 바탕으로 희귀 금속과 산화물 제품을 생산하며, 글로벌 희토류 공급망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특히, 호주 희토류 생산 기업과의 협약을 통해 희토류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전기차 배터리 부품을 대기업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을 확대하며, 희토류 제련 설비를 호주에 납품하는 등 글로벌 사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4. 노바텍 주가

 

노바텍은 희토류 영구 자석 및 응용 자석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특히 전자기기 및 스마트폰에 필수적인 쉴드마그넷을 생산합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27,800원/10,160원
  • 외국인소진율:1.02%
  • 시가총액:2,469억원
  • 매출액:658억원(2024년)

이 회사는 미중 무역갈등 및 희토류 무기화 정책에 대응하여 동남아 시장 진출과 라오스 현지 희토류 광산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전자석 탈철기 및 스마트폰용 특수 필름 등 신사업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희토류 자석 공급망 안정화와 글로벌 시장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5. 현대비앤지스틸 주가

 

현대비앤지스틸은 스테인리스 강판 제조를 주력으로 하는 기업이지만, 성림첨단산업의 최대 주주로서 희토류 영구 자석 생산과 관련이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23,150원/9,890원
  • 외국인소진율:2.56%
  • 시가총액:1,859억원
  • 매출액:7,954억원(2024년)

성림첨단산업은 전기차, 항공기, 휴대폰 등 첨단 산업에 필수적인 희토류 자석을 생산하는 국내 유일의 업체입니다.

 

현대비앤지스틸은 이러한 성림첨단산업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희토류 자석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증가와 함께 주목받고 있습니다.

6. 티플랙스 주가

 

티플랙스는 스테인리스 및 희소금속 제품을 주요 사업으로 하며, 전기차 배터리와 전자기기, IT 기기 등에 필요한 희토류 및 희소금속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3,675원/2,310원
  • 외국인소진율:4.79%
  • 시가총액:784억원
  • 매출액:2,075억원(2024년)

최근 미중 무역갈등 등 글로벌 공급망 이슈가 부각됨에 따라, 티플랙스는 급등과 하락을 반복하는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LNG 선박 및 전기차 배터리 모듈 소재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며, 희토류 및 특수 금속 소재의 전문 유통사로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7. 쎄노텍 주가

 

쎄노텍은 세라믹 비드 양산화에 성공한 기업으로, 분쇄·분산용 세라믹 비드와 용접 재료용 플럭스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 52주최고가/최저가:1,198원/549원
  • 외국인소진율:2.17%
  • 시가총액:460억원
  • 매출액:315억원(2024년)

희토류 대체 소재 및 고부가가치 특수소재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반도체 및 배터리 산업에서도 일부 연관이 있습니다.

 

쎄노텍은 기술 기반 성장을 지속하며, 글로벌 원자재 가격 급등에도 불구하고 가격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결론

국내 희토류 관련 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 이슈와 첨단 산업의 성장에 따라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 전자기기, 배터리 등 산업에서 희토류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들 기업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기업의 희토류 사업 비중, 기술력, 글로벌 공급망 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 본 내용은 투자를 권유하기 위한 글이 아닌 정보성 글입니다. 따라서 모든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밝힙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